행성을 개조하는 테라포밍
제2의 지구를 만들어낼 수 있을까?
테라포밍이란, 지구가 아닌 행성의 환경을 지구처럼 바꾸는 것을 뜻합니다. 변화시키는 요소는 기온, 토양 성분, 생명체 등 매우 다양할 수 있습니다. 테라포밍을 우리말로는 지구화 또는 행성 개조라고도 합니다.
테라포밍의 목적은 한 행성의 생태계를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바꾸어 인간이 살아갈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현재 인류의 지식 범위 내에서는 인간의 터전이 지구밖에 없습니다. 지구 외의 행성에서도 인류가 번성하는 것이 테라포밍의 최종 목표입니다.
테라포밍이 주목받는 까닭
현재 지구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봉착했습니다. 범지구적인 문제점 중 하나는 인구 증가입니다. 지구에서 인류의 수는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1980년대에 약 44억 명이었던 인구 수가 2021년 기준 78억 명이 넘었습니다. 40여 년만에 77% 이상 증가한 것입니다. 인구 증가 속도는 점점 더 빨라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구가 증가하면 복합적인 문제가 발생합니다. 최근 두드러지는 문제인 환경오염과 기후변화의 원인도 인구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인간의 활동은 필연적으로 지구의 환경에 영향을 주게 되는데, 점점 많은 사람들이 살게 되면서 문제가 생기고 있는 것입니다. 일부 과학자들은 이미 지구가 수용 가능한 인구수를 넘었다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인류가 삶의 질을 유지하고 생존하기 위한 대안으로, 지구 외의 행성으로 이주하자는 의견이 나타났습니다. 테라포밍을 처음으로 유력하게 제안한 사람은 천문학자 칼 세이건입니다. 그는 금성을 지구처럼 개조해서 지구처럼 만들 수 있는 가설들을 제시했고 과학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가장 실현 가능성이 높은, 화성 테라포밍
칼 세이건이 주장했던 금성 테라포밍은 시간이 지나면서 불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그는 금성에 조류를 퍼트리는 방식으로 온난화를 제한하고 산소를 생성하려고 했지만, 금성의 환경은 매우 척박하여 조류를 포함한 어떠한 미생물도 생명활동을 할 수 없습니다.
테라포밍에 대한 관심은 금성에서 화성으로 옮겨 갔습니다. 이것이 지금까지 이어져 현재도 화성에 대한 테라포밍 연구와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화성이 새롭게 테라포밍 대상으로 관심을 받은 까닭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화성은 지구에서 가까우며 자전 주기도 지구와 가장 유사합니다. 또한 화성 극지방에는 소량의 얼음과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런 자원의 존재는 테라포밍 성공 가능성을 훨씬 높여줍니다.
화성 테라포밍 방법
화성 테라포밍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내놓은 사람은 던 크리스토퍼 멕케이 박사입니다. 그는 화성 테라포밍 단계를 상세하게 소개했고, 나사와 스페이스X 등의 기업들은 그의 가설을 바탕으로 화성 식민지화를 실현할 계획입니다.
화성 테라포밍을 위해서는 먼저, 소수의 선발대가 화성으로 가서 살아가게 됩니다. 선발대는 자원 및 에너지 순환을 이뤄내어 화성에서 자급자족하는 미션을 수행합니다. 초기에는 지구로부터 각종 물자를 지원받겠지만, 점차 화성 내의 발전으로만 식량, 물, 에너지 등을 만들어내야 합니다.
테라포밍의 문제점
가장 큰 문제점은 테라포밍 과정에서 어떤 문제가 생길지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만약 실제로 화성 테라포밍 프로젝트가 착수한다면, 인류 최초의 테라포밍 시도가 됩니다. 선례가 없기 때문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 알 수 없습니다. 테라포밍의 부작용이 있을 수도 있고, 미처 인류가 알지 못하는 문제가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2의 지구를 만들려는 시도는 매우 뜻깊으며 인류 발전의 큰 밑거름이 될 것입니다.
'우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류의 우주 탐사 역사 (0) | 2021.11.06 |
---|---|
달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달의 탄생에 대한 가설 (0) | 2021.11.06 |
우주 산업은 남 일? 혜택 당장 챙겨 보자 (0) | 2021.11.05 |
왜 우주인가? 부자들이 우주에 집중하는 이유 (0) | 2021.11.05 |
우주의 미래, 시작과 종말의 고리 (0) | 2021.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