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쓰레기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지구에는 인구수가 늘어나면서 쓰레기 배출량도 함께 증가해 환경 오염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그런데 사람이 살지 않는 우주에도 쓰레기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우주 공간에 떠돌지만 쓸모가 없는 인공 물체들를 우주쓰레기라고 합니다.
우주쓰레기 발생 원인
우주 쓰레기는 어떻게 생겨나게 되었을까요? 바로 인간의 우주 탐사와 위성 발사 때문입니다. 최초의 인공 위성은 1957년 스푸트니크 1호였는데, 그 이후로 수많은 인공위성들이 우주로 발사됐습니다. 우주쓰레기는 이 과정에서 발생하게 됩니다. 고장난 인공위성이나 로켓에서 떨어져 나온 파편, 우주비행사가 실수로 떨어뜨린 공구 등이 우주쓰레기가 됩니다. 지구 주변의 우주쓰레기는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이대로라면 수 년 내에 지구 궤도 전체가 우주쓰레기로 가득찰 것이라고 합니다.
우주쓰레기가 일으키는 문제
우주쓰레기가 많아지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까요? 우주쓰레기는 한 곳에 가만히 있지 않고 빠른 속도로 지구의 궤도를 움직이고 있습니다.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작은 우주쓰레기라도 치명적입니다. 현재 지구의 궤도에는 수많은 인공위성이 있습니다. 인공위성들은 지상에 정보를 전달하며 통신의 주축이 됩니다. 그런데 만약 넘쳐나는 우주쓰레기에 부딪혀 손상된다면 우리도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 1996년에 프랑스 위성 세리즈는 아리안 로켓 파편에 부딪혀 운영이 중단된 사례가 있습니다. 이는 최초의 우주쓰레기 사고입니다. 또한 우주쓰레기는 인류의 우주 탐사에 방해가 됩니다. 현재 우주에서 작동하고 있는 위성이나 국제우주정거장은 우주 탐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런 시설들이 우주쓰레기와 충돌하면 재산적 피해 뿐만 아니라 우주인의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습니다.
우주쓰레기 해결 방안
우주쓰레기는 레이더로 추적 가능합니다. 추적한 바에 따르면 현재 우주 쓰레기는 10cm 이상이 약 3만 개가 넘고, 1cm에서 10cm 미만 정도의 작은 파편은 67만 개가 있으며, 1cm보다 작은 부스러기는 1억 개가 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세계 각국에서는 우주쓰레기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국제 우주쓰레기 처리 회의를 여는 등 어떻게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것인지 의논했습니다. 일부 국가들은 우수한 레이더를 개발해 우주쓰레기의 위치를 보다 면밀하게 파악하여 사고에 대비합니다. 우주쓰레기를 피하는 것 뿐만 아니라, 위성체 자체의 내구성을 높여 우주쓰레기와 충돌하더라도 피해를 최소화하고 위성을 보호하는 방안도 내놓았습니다. 하지만 이 모든 방법들은 우주쓰레기의 수가 늘어난다면 아무리 뛰어난다한들 무용지물이 될 것입니다. 따라서 우주쓰레기를 수거하는 방법도 제시되었습니다. 우주쓰레기를 지구로 되돌리는 방법은 매우 다양합니다. 그물을 던져 우주쓰레기를 모으거나, 청소 위성이 우주쓰레기를 잡아 지구의 대기권으로 던져 버리거나, 밧줄이나 끈끈이, 자석 등을 이용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습니다. 인류는 지구에서 각종 환경 문제로 고통받고 있으며, 우주에서 미래 세대의 희망을 찾아야 할지도 모릅니다. 지구에서와 똑같은 실수로 미래의 희망마저 사라져 버리는 일이 없도록 경각심을 가져야 할 것입니다.
'우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타버스와 다중우주 비교 (0) | 2021.11.23 |
---|---|
별의 밝기를 구분하는 방법, 겉보기 등급과 절대 등급 (0) | 2021.11.14 |
태양계를 이루고 있는 천체 (0) | 2021.11.08 |
우주 너머에는 무엇이 있을까? (0) | 2021.11.08 |
별의 거리 측정과 세페이드 변광성 (0) | 2021.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