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주 36

과학자들이 평행우주를 주장하는 까닭

과학자들이 평행우주를 주장하는 까닭 과학자들은 왜 평행우주를 주장할까? 우주는 완전히 측정할 수 없을 만큼 거대합니다. 우주의 크기는 무한할 수도 있고 유한할 수도 있습니다. 많은 과학자들은 우주가 유한하다는 쪽에 더 많은 표를 던집니다. 우주가 유한하다면 일어날 수 있는 재미있는 가설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평행우주입니다. 평행우주란, 무한히 많은 똑같은 모습의 우주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서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지구는 단 하나만이 아니라 무수히 많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지구 뿐만 아니라 우리 은하, 은하단, 우주도 마찬가지입니다. 똑같은 세상을 무한히 복사한 듯 많다는 개념이 평행우주입니다. 물론 모든 과학자들이 평행 우주론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평행우주이론을 매우 진지하게 생각하는 ..

우주 2021.11.24

메타버스와 다중우주 비교

메타버스와 다중우주의 비교 메타버스란 무엇인가 요즘 가장 떠오르는 말로 단연 메타버스를 꼽을 수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어 익숙했던 페이스북이 사명을 '메타'로 변경하는 등, 메타버스는 더 이상 먼 미래만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메타버스란 메타(Meta)와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입니다. 메타는 그리스어로 초월을 뜻하고 유니버스는 우주를 뜻합니다. 현재 존재하는 세상을 초월하여 게임이나 플랫폼 안에 존재하는 가상 세계를 의미합니다. 인간이 컴퓨터를 이용하거나 또는 인공지능이 스스로 만든 가상현실 환경이 해당됩니다. 다중우주란 무엇인가 다중우주란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 외의 다른 우주들을 뜻합니다. 영어로는 multiverse라고 합니다. 우리 우주 외에 다른 우주가 존재하는지는 아직 밝혀..

우주 2021.11.23

별의 밝기를 구분하는 방법, 겉보기 등급과 절대 등급

별의 겉보기 등급과 절대 등급 별의 밝기를 구분하는 방법 맑은 날 밤하늘을 올려다보면 무수히 많은 별들을 볼 수 있습니다. 별들 중 어떤 것은 다른 별에 비해 유난히 반짝이고 빛이 납니다. 우리는 별들마다 밝기가 다르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옛날 사람들에게도 별의 관찰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었으며, 별들의 밝기가 다른 것을 보고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싶어했습니다. 그 역사는 무려 고대 그리스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히파르코스는 밤하늘의 별을 총 6개의 등급으로 구분했습니다. 밝을수록 1등급, 어두울수록 6등급입니다. 이 체계는 시간이 지나 더욱 고도화되어, 비교적 정확한 수치에 따라 별의 밝기를 구분하게 되었습니다. 1등급에서 6등급 사이 각각의 등급에서는 밝기의 차이가 약 2.5배입니다. 즉, 1..

우주 2021.11.14

우주쓰레기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우주쓰레기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지구에는 인구수가 늘어나면서 쓰레기 배출량도 함께 증가해 환경 오염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그런데 사람이 살지 않는 우주에도 쓰레기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우주 공간에 떠돌지만 쓸모가 없는 인공 물체들를 우주쓰레기라고 합니다. 우주쓰레기 발생 원인 우주 쓰레기는 어떻게 생겨나게 되었을까요? 바로 인간의 우주 탐사와 위성 발사 때문입니다. 최초의 인공 위성은 1957년 스푸트니크 1호였는데, 그 이후로 수많은 인공위성들이 우주로 발사됐습니다. 우주쓰레기는 이 과정에서 발생하게 됩니다. 고장난 인공위성이나 로켓에서 떨어져 나온 파편, 우주비행사가 실수로 떨어뜨린 공구 등이 우주쓰레기가 됩니다. 지구 주변의 우주쓰레기는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이대로라면 수 년 내..

우주 2021.11.13

태양계를 이루고 있는 천체

태양계를 이루고 있는 천체 태양계의 구성원 고대부터 사람들은 육안으로 태양, 달 및 가장 밝은 행성을 볼 수 있었습니다. 사람들은 밤하늘을 올려다보며 자연의 법칙을 이해하고 싶어합니다. 천체 운동의 관찰과 계산은 천문학 분야를 만들었습니다. 오늘날 행성과 작은 천체의 운동, 자연, 구성에 대한 정보의 양이 크게 증가했으며 관측 도구의 범위는 태양계를 넘어 다른 은하계와 관측 가능한 우주의 가장자리까지 확장되었습니다. 그러나 태양계와 태양계의 직접적인 외부 경계는 여전히 우리의 물리적 범위의 한계를 나타내며 우주에 대한 이론적 이해의 핵심입니다. 지구에서 발사된 우주 탐사선과 착륙선은 행성, 위성, 소행성 및 기타 물체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그 결과, 망원경 등을 통해 지구 대기권의 상·하층에서 수..

우주 2021.11.08

우주 너머에는 무엇이 있을까?

우리가 보는 우주 밖의 다른 우주 관측 가능한 우주와 다중우주론 현존하는 최첨단 기술로 우주를 관측하더라도 절대 그 너머의 경계를 찾을 수 없다. 우주 공간은 인간이 모두 관찰할 수 없을 만큼 거대하고, 우주의 어느 부분을 보든지 물질과 방사능이 존재한다. 또한 모든 방향에서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증거도 있다. 뜨겁고 밀집된 상태에서 남은 방사선과 크기, 질량, 수적으로 진화하는 은하, 별들이 살고 죽으면서 변화시키는 원소 등이다. 그런데 우리가 관찰할 수 있는 우주 너머에는 무엇이 있을까? 빅뱅 이후 우리에게 도달할 수 있는 빛 신호 너머에는 아무것도 없는 심연이 있을까? 우리 우주와 같은 우주가 관측 한계를 넘어서 더 있을까? 우리 우주 밖에 또 다른 우주가 존재한다는 이론이 다중우주론이다. 매우 ..

우주 2021.11.08

별의 거리 측정과 세페이드 변광성

지구에서 별의 거리를 재는 방법 세페이드 변광성 별을 관측하다보면 별이 지구로부터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인지 의문이 들곤 한다. 더 나아가, 밤하늘에 보이는 별들은 서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 것인지도 궁금해지곤 한다. 한 별이 지구에서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인지 알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지구에서 별들 사이의 거리는 어떻게 재는 것일까? 인류가 밤하늘을 탐구하기 시작하면서 전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고 기본적인 과제가 되었다. 수많은 천문학자들이 별들의 거리를 재기 위해서 노력했고, 그 결과 현재 우리는 지구와 태양이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우리은하의 크기가 얼마만한지 대략적으로 알 수 있다. 물론 우주에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점들이 훨씬 많지만 말이다. 별의 거리를 재는 방법은 ..

우주 2021.11.08

외계인 우주 지적 생명체는 존재할까?

인간만이 우주의 지적 생명체일까? 외계인의 존재 가능성 우주에서 인간과 소통할 수 있을 정도의 지능을 가진 생명체는 과연 존재하는 것일까? 아니면 인간만이 우주에 홀로 있는 것일까? 어쩌면 다른 세계에서 밤하늘을 올려다 보면서 같은 질문을 하는 다른 지적인 존재들이 어딘가 존재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우리보다 더 발전된 문명을 갖고 행성 간 통신이 가능하며 은하 전체에 연결된 사회 네트워크를 구축한 문명이 있을 수도 있다. 인류는 본능적으로 우주밖에 생명체의 존재를 확인하고 싶어해 왔다.이러한 의문은 아주 오랜 역사에 걸쳐 이루어졌지만, 신학에 의해 배척된 영역이었다. 오늘날에 들어서야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지적 외계 생명체의 탐색이 과학의 영역에 들어갔다. 과학자들은 외계인을 찾기 위해서는 지구와 비슷한..

우주 2021.11.07

인류의 우주 탐사 역사

인류의 우주 탐사 역사 우주 관측과 탐사 역사 인간에게 밤하늘은 오랜 이야기와 탐험의 대상이었습니다. 많은 과학자들과 기술자들이 우주의 비밀을 풀기 위해서 고심해 왔습니다. 처음으로 인간이 우주를 탐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게 된 것은 20세기에 들어서면서부터입니다. 1940년대 제2차 세계대전 중 나치 독일은 장거리 로켓을 무기로 사용하기 시작했고, 미사일 기술 개발과 항공 및 위성 기술 또한 발달했습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미국과 소련은 자체 미사일 프로그램을 만들었습니다. 냉전 시대에 두 국가는 서로 경쟁하듯 우주에 뛰어들었습니다. 1957년 10월, 소련은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를 우주로 발사했습니다. 4년 후인 1961년 4월, 러시아의 유리 가가린 중위는 인류 최초로 지구 궤도를..

우주 2021.11.06

달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달의 탄생에 대한 가설

달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달의 탄생 과정 지구의 밤하늘에서 가장 눈에 띄는 천체는 달입니다. 달은 아주 오랜 옛날부터 존재했으며, 인간의 생활과 문화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습니다. 오랜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신화나 전설에서도 달이 다루어지곤 합니다. 지구와 달은 가까워서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관측할 수 있습니다. 인류는 달을 관측하다가 점점 호기심을 갖기 시작했습니다. '달은 과연 언제부터 존재했던 것일까?' '달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역사적으로 과학자들은 달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에 대한 가설을 꾸준히 내놓았습니다. 그 가설들은 아폴로 달 탐사를 전과 후로 구분됩니다. 아폴로 임무 연구 이전에는 달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한 세 가지 이론이 있었습니다. 포획 이론, 부착 이론, 분열 이론입니다. 포..

우주 2021.11.06
반응형